2022.9.28 12:30-17:00 남한산성 침괘정 카페작은숲
20년 넘도록 태극권을 수련하다가,
몸 움직임의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이는 곧 정신의 고요함이라고 깨닫게 됩니다.
정신 수련을 강조하니 태극권이 태극행선이 되었습니다.
매일 수련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에게 몸이 건강하고 마음에 지혜로움이 깃들 것입니다.
태극행선太極行禪은 태극권이 아닙니다.
모양은 태극권 초식을 따르지만 무술을 연상하지 않습니다.
행선은 몸을 느끼고 관찰하는 명상입니다.
행이란 saṅkāra며, kāya vaci 상카라를 대상으로 삼고, 선이란 명상입니다.
태극행선이란 태극권의 몸 동작과 요결을 따르며, 의념으로는 온 몸의 움직임을 느끼고 관찰합니다. 일생생활의 몸과 마음으로 확장해서 선행을 이끌고 악행을 멀리합니다.
예비식은 태극권 초식 제1번입니다.
대편성 오케스트라 연주 시작전에 셋업단계에 비교되지요. 악기 튜닝도 끝나고 단원들의 마음의 준비가 마무리되면, 지휘자는 각 악기들의 한음 한음을 알아차리며 곡을 지휘하면서 이끄는 노력을 합니다.
1. 오케스트라 연주전에 조율하고 연주 자세를 갖추는 것과 같습니다
2. 마음자세가 중요해요 아무것도 기대하지 말고 침착하십시오
3. 몸의 느낌을 놓치지 않도록 노력하고
4. 심신방송이 핵심입니다
6. 초식이 끝나는 수세단계까지 이 마음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합니다
7. 이심행기 이기운신을 이해하세요
8. 바르게 섭니다, 이완과 감각집중에 대해서 알렉산더테크닉 디렉션을 참조하세요
9. 심상훈련이 도움이 됩니다
10. 바디스캔 좌선이 도움이됩니다
11. 요결을 충분히 이해해서 언젠가는 자기만의 행선을 준비하세요
12. 몸이란 반복 훈련만이 답입니다
13. 일상에서 늘 몸을 느끼고 감정을 보도록 습관화가 중요해요.
몸과 마음공부를 위한 오리엔테이션-5, 6 추천 강좌는,
법륜스님의 즉문즉설과 허태균의 한국인의 심리라는 강의를 통해서 세간의 삶의 고통과 희망이 무엇이고, 내가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삶의 주인으로서 내면에 작동하는 희노애락의 현실을 가늠해봅니다. 진정으로 무엇이 행복이고 삶의 기쁨이 되는가, 그 기준은 무엇인가.
몸과 마음공부를 위한 오리엔테이션-7, 이번 추천 강좌는 [EBS 인문학특강] 현대철학자 노자. 삶의 가치관이 달라지면 과연 행복해 질 수 있을까. 옛 성인 노자는 도덕경에서 어떻게 말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