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2월 23일 사미계를 받다. 도서관건물에서 여러 한국 스님들이 참석한 가운데 위말라 사야도께서 주관하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12.23 사미계를 받고나서 한국 스님들과 기념사진

알로카, 사다마, 도신, 담마다야다, 원목, 우타마, 수마나, 티카, 현호, 에띠 (왼쪽부터 서있는 스님들)
이창규거사, 담마짜라, 위웨까짜라, 케마짜라(앞줄)

4개월정도 수행을 하던중, 급작스런 건강악화로 도중에 귀국하다. 허약한 몸으로 더위를 견디기 어려웠던 것 같다. 의사선생은 폐질환(NTM)이라는데 한참을 또 투병해야할듯. 

수행처에 지낼려면 최소한의 건강을 가지고 출발해야한다. 허약한 사람은 마음만 가지고는 더 어려운 병을 얻을 수도 있다. 균형을 잘 잡아가며 생활하는 것이 쉽지는 않은 듯. 의욕과 노력이 너무 앞서도 일을 그르칠 수 있다.

대부분 스님들로부터 여러가지 수행 경험담을 들을 수 있었다.  좋은 길라잡이가 됐다. 감사드립니다.

파욱에 가는것은, 빛을 보거나 보기 직전의 상태이거나, 호흡에 대한 충분한 확신이 설 때 장기 수행하러 가는 것이 좋다. 그외는 단기수행으로 코스를 잡는것이 유리하다. 그동안 수행으로 호흡에대한 어느정도의 확신은 생겼다. 니미따가 생기는 것은 집중도에 달려있지만, 사람에 따라서도 제각각 다른 것 같다. 장기적인 포석이 필요하다.

오전 명상 때 창밖에 새들은 잘도 떠들어댄다. 열대 새들은 목소리가 굵고 큰듯. 청솔모가 자유분만 천방지축으로 뛰노는 곳. 아침 공양 때는 쟈스민 꽃을 자주 공양받는다. 매번 명상을 알리는 신호는 큰 나무통을 북처럼 두드리는데, 이 소리가 숲속을 울려퍼질 때는 더운 열대더위와 함께 나른함이 몰려오기도 한다. 시마홀은 300여 계단을 올라가야한다.

수행을 하는데 특별한 곳을 찾아야만 하는 단계는 지난 듯 하다. 내가 처한 곳 어디에서든지 늘 수행을 잊지 않기를 기원한다.

+ Recent posts